귀의 감염 - 중이염
귀의 감염 - 중이염
1. 귀의 감염에는 중이염과 외이도염이 있다.
2. 중이염은 흔히 감기와 같이 동반된다. 감기에 걸리면 중이와 인후(목구멍)을 연결시켲는 유스타키오관이 부으면서 막히게 된다 유스타키오관이 막히면 공기가 중이로 들어갈 수가 없어 중이가 진공상태가 되면서 압력에 의해 액체가 중이로 흘러들어오게 된다. 이러한 액체는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주며 중이염을 일으키게 된다. 특히, 어린이의 경우 유스타키오관의 구조상 중이염에 더 잘 걸리게 된다.
감염된 액체는 중이에 고여서 고막을 누르게 되고, 중이염을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고막 천공까지 일으킬 수 있다. 고막 천공은 대부분 심각하지 않으나, 드문 경우 청력 손실이 있을 수 있다.
중이염의 증상은 귀의 통증, 어지러움, 이충만감, 청력 저하, 열, 두통, 콧물 등이 있을 수 있다. 증상을 표현할 수 없는 어린이의 경우에는 아픈 쪽 귀를 잡아 당기기도 한다. 귀에서 피나 고름 같은 분비물이 나오면 고막 천공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막 천공이 일어나면 통증은 오히려 줄어드는 경우가 많다.
중이에 액체가 고이는 것을 장액성 중이염 혹은 삼출액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중이염 치료 후에 발생하며 , 증상이 없을 수도 있고, 약간의 청력 저하, 귀의 불편감 등이 있을 수도 있다. 삼출액이 3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양쪽 귀의 심각한 청력 저하가 동반되지 않는 한 고막을 절개하고 환기관 삽입을 하는 수술까지 할 필요는 없다.
예방
1. 가능한 한 모유 수유를 한다. 모유 수유를 하는 아기는 중이염에 걸릴 확률이 적다. 젖병으로 먹이는 경우라면, 우유가 유스타키오관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아기를 세워 안은 자세로 먹이고, 젖병을 문 채 잠들지 않도록 해야한다.
2. 어린이가 담배 연기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도록 한다. 담배 연기는 잦은 중이염과 관련이 있다.
3. 가능하다면, 감기에 걸린 다른 아이와의 접촉하는 것을 제한한다.
4. 생후 6개월경부터는 젖병을 떼는 연습을 시작해야한다. 돌이 지난 후에도 젖병을 사용하는 아기의 경우 중이염이 더 잘 걸리게 된다.
5. 감기에 걸린 경우 손을 자주 씻어 전염을 예방한다.
6. 제 때 예방접종을 하도록 한다( 2세 이상의 어린이 중 반복적인 중이염이 발생하는 경우 폐구균 예방접종을 시행한다.